블로그 작성하기: ASD 실험연구 리뷰
1. 논문의 서지 정보
김해선, 김은경, 전상신 (2016)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아동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.
2. 대상 아동
인적사항 : 만 5세 10개월 자폐성장애2급 남자 아이
검사결과
-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(CARS): 35점 (경증-중간 정도 자폐)
-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(K-WPSSI-III): 동작성 지능 73, 언어성 지능 65, 전체 지능 67 – 심리교육 프로파일 발달연령 (PEP-R): 전체 발달연령 4세 10개월
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(PRES)
- 수용언어 : 5세 10개월 , 표현언어 : 4세 4개월 , 통합언어 : 5세 1개월
- 사회성숙도(SMS) : 사회연령3.69, 사회성지수 63.62, 사회성3-4세, 언어4-5세, 인지5-6세
- 행동특성
선호하는 특정 물건에 즉각적으로 다가가서 잡고, 물건을 응시하거나 손가락으로 반복적으로 가르킴
선호하는 식료품을 발견 시 즉각적인 섭취 의사를 표현함
글자나 숫자를 잘못 썼을 때 강한 반응을 보이며, 상동행동(손가락 움직임) 발생함
-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
3~4 어절로 구성된 문장 표현은 가능하나 조음 명료도가 낮아 이해하기 어려움
원하지 않는 경우 (어~어~)소리나, 비언어적으로 (손잡아 끌기, 눈물흘리기) 의사표현
3. 목표행동
1. 허락구하기
조작적 정의: 먹을 것과 물건 등 아동의 것이 아닌 것을 만지고 싶거나 먹고 싶을 때 상대방에게 구어로 허락을 구하는 행동
예시: OO 먹고 싶어요 , OO 하고 싶어요 , 라고 말하기
2. 자기 주장하기
조작적 정의: 도움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도움을 거절하는 의견을 언어로 주장하는 행동
예시: ◯◯이가 할래요 라고 말하기.
3. 인사하기
조작적 정의: 만났을 때와 헤어질 때(퇴실 시) 자발적으로 인사하는 행동
예시: 안녕하세요 또는 안녕히 계세요 , OO아 잘가 라고 말하기
4. 중재 전략
- 중재 전략의 명칭: 상황 이야기 중재
( Gray(2010)가 기술한 상황이야기 안내문을 기초로 구성, 상황이야기에는 각 주제 상황의 문장에 해당하는 사진자료를 첨부하여 구 성하였다. 대상 아동과 치료실에서 사용되는 실제 물건의 사진자료를 이용하여 아동을 위한 상황 이야기를 제작하였다. 사용된 문장은 Gray가 고안한 문장 형식 중 기본 문장 유형인 설명문, 조망문, 지시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)
- 중재에 대한 설명: 상황이야기를 통해 아동이 특정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중재 방법 아동의 자발적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,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춘 상황 이야기를 통해 진행.
- 적용 절차
1. 상황이야기 책을 읽기 전 학습 주제 안내.
2. 아동이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 자료와 설명문, 지시문, 조망문을 포함한 상황이야기 제공.
3. 이해도 평가를 통해 아동의 이해를 확인하고 역할 놀이로 행동 연습.
4. 아동이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경우 강화물(예: 초콜릿) 즉시 제공
중재 적용: 주 2-3회, 1:1 형식으로 약 20분간 중재 실시
연구자료: 이 연구는 행동 간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, 허락구하기, 자기 주장하기, 인사하기의 자발적인 사회적 행동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, 중재의 효과는 평균 허락구하기에서 50.30%, 자기주장하기68.54%, 인사하기 43.75% 의 행동 발생률 향상으로 나타났으며,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됨
5. 행동분석적 요소 탐색
1. 행동의 조작적 정의를 설정하여 행동을 명확히 구분하고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.
2. 역할극을 통해 강화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대상아동이 행동과 강화물간의 유관을 이해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.
3. 기초선 및 중재 단계를 설정하여 행동빈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었다.
4.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에서 행동 관찰을 실시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다.
5. 지속적인 평가를 하고, 다른 환경 (집이나, 학교) 등에서 일반화가 되었는지 확인하였다.
- 교육 현장에서 상황이야기 책을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.
교실, 치료실등에서 상황이야기 책을 활용하여 아동이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말과 반응을 연습하고 적용하면 좋을 것 같다. 또 행동을 정확하게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부분도 필요하겠고, 강화 전략을 적절히 사용하여 원하는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 같다. 아동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때는 사진이나 시각적 도움을 제공하여 유도리있게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.